반응형
정신역동적 상담 과정 예시
아래의 사례는 가상의 인물을 설정한 사례로 특정 인물이 아닌점을 먼저 말씀드립니다. 본 예시는 처음 정신역동적 상담을 시작하는 입문자들을 위한 간단한 예시입니다. 처음 상담 입문시, 자신이 주로 선호하는 주 치료 이론을 기반으로 사례 개념화를 하는데요. 정신역동적 관점에서 치료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.
[ 20대 후반 여성 A씨의 사례 ]
A씨의 배경:
- 20대 후반 여성, 직장인
- 주 호소 문제: 반복되는 연애 실패, 불안정한 대인관계, 낮은 자존감, 만성적인 불안과 우울감
- 가족력: 엄격하고 비판적인 아버지, 정서적으로 불안정하고 의존적인 어머니. A씨는 어린 시절부터 부모님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노력했지만, 늘 부족하다는 느낌을 받았다고 함.
- 과거력: 어린 시절 따돌림 경험, 잦은 이사로 인한 친구 관계 단절
치료 과정:
1. 초기 단계 (1~3개월):
- 치료 관계 형성: A씨와 치료자는 안전하고 신뢰로운 치료 관계를 형성하는 데 집중합니다. 치료자는 A씨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공감하며, A씨가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합니다.
- 평가 및 분석:
- 치료 목표 설정: A씨와 치료자는 협의하여 치료 목표를 설정합니다.
2. 중기 단계 (4~12개월):
- 전이와 역전이 분석
- 해석 및 통찰
- 저항 다루기
- 훈습(working through)
3. 종결 단계 (13개월 이후):
- 치료 목표 달성 평가: A씨와 치료자는 치료 목표가 얼마나 달성되었는지 평가합니다.
- 종결에 대한 감정 다루기: A씨는 치료 종결에 대한 불안, 슬픔, 상실감 등 다양한 감정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. 치료자는 A씨가 이러한 감정을 표현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.
- 재발 방지 계획 수립: A씨와 치료자는 치료 종결 후에도 A씨가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재발 방지 계획을 수립합니다.
예상되는 치료 결과:
- A씨는 자신의 무의식적인 갈등과 방어기제를 이해하고, 과거 경험이 현재 자신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인식하게 됩니다.
- A씨는 자신의 감정을 더 잘 조절하고, 건강한 대인관계를 맺으며, 자존감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.
- A씨는 불안과 우울 증상이 완화되고, 더 만족스러운 삶을 살아갈 수 있습니다.
※ 위 예시는 일반적인 정신역동적 치료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며, 실제 치료 과정은 개인의 특성과 문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
※ 정신역동적 치료는 장기간에 걸쳐 진행되는 경우가 많으며, 치료 기간은 개인의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.
반응형
'상담기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대상관계 이론 치료 사례 개념화 실제 예시 (8) | 2025.04.19 |
---|---|
대상관계이론 초기 관계 경험과 심리적 구조의 형성 (6) | 2025.04.13 |
방어기제 정리 및 사례 개념화 적용법 (12) | 2025.04.03 |
정신역동적 접근으로 본 상담 사례 분석 예시, 사례 개념화 보고서 작성 (9) | 2025.04.03 |
정신역동치료 사례 개념화 방법 및 작성법 (4) | 2025.04.02 |